선택과 경험

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직장생활속에서는 사실 선택이라는 것을 거의 하지 않는다, 아니 못한다고까지 이야기 할 수 있다.

비단 직장생활이 아니라 직장생활을 하기 전의 삶의 대부분이 한 개인이 선택이라는 것을 스스로 생각해서 하는 경우는 놀랍게도 많지 않다. 태어나서 어린이집과 유치원과 초중고를 다니면서 스스로 선택이라는 것을 한 적이 있는지 생각해 보면 그 놀라움을 실감할 수 있다. 부모나 우리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가 정해 놓은 환경과 틀속에서 “얼마나..”, 혹은 “어떻게..”는 열심과 노력의 기준이지 선택이 기준이 아니다. 굳이 선택이라고 한다면 “반항”이라는 이름으로 혹은 “사춘기”라는 이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이 시기의 반항과 사춘기는 스스로 선택하거나 책임질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 표현하는 감정이다.

대학이나 직장생활도 크게 이와 다르지 않다. 그런 관점에서 직장생활이 그 이전의 삶과 다른 유일한 이유는 아마도 금전적 보상이 있다는 것이다. 그 전까지의 삶의 노력은 “결과” 일 뿐이었지만 직장생활부터는 그 “결과”에 “댓가”를 지불 받는다. 그래서 직장생활에서의 선택은 그 전의 삶보다 더욱 희박하다. 금전적 댓가가 있는 만큼, “반항”이나 “어른의 사춘기?!” 따위는 인정되기 어렵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그리고 오랫동안 경영을 해 오면서 간혹 “선택”을 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명확히 이야기 하자면 그런 사람들은 무엇인가의 이익과 손실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이 선택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가에 집중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런 사람들을 나는 인재(人才)라고 부른다.

인재(人才)라함은 일을 잘 하는 사람이 아니라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다. 손익보다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손익을 따지는 것이 결코 나쁜 것은 아니다. 단지, 선택의 기준이 손익이냐 경험이냐에 따라 직장인(샐러리맨)과 직업인(프로/장인)으로 나뉘는 것은 명확하다. 경험은 죽을때까지 활용할 수 있고 선한 영향력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손익은 좋고 나쁨으로만 남기 쉽다.

선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경험이 중요하다.

The Illusion of Choice and the Value of Experience

While it may seem that we make many choices throughout our lives, in our professional careers, we actually make very few choices—or perhaps more accurately, we cannot make them.

This observation extends beyond just professional life. Surprisingly, even before entering the workforce, there are remarkably few instances where individuals truly make choices through their own independent thinking. If you reflect on your journey from birth through nursery school,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consider how often you actually made your own choices, this realization becomes evident. Within the environments and frameworks established by our parents and society, “how much” or “how well” we do something is measured by standards of diligence and effort, not by choice. If anything could be called a choice during this period, it might be expressed through “rebellion” or what we label as “adolescence.” In my view, the rebellion and adolescence of this period are emotional expressions made with the awareness that one cannot truly choose or take responsibility for oneself.

University and professional life aren’t much different. From this perspective, perhaps the only thing that distinguishes professional life from earlier stages is monetary compensation. Until then, our efforts resulted merely in “outcomes,” but from professional life onward, we receive “payment” for these outcomes. This is why choices in professional settings are even more rare than in earlier life. With financial compensation comes the reality that “rebellion” or “adult adolescence” are difficult to justify.

However, throughout my professional life and years in management, I occasionally meet people who do make “choices.” To be clear, these individuals differ in that they don’t focus on choosing between profit and loss, but rather concentrate on what experiences they can gain through their choices.

I call such people talent (人才). A talented person isn’t merely someone who performs well but someone who values experience. Those who prioritize experience over profit and loss tend to value relationships. There’s nothing inherently wrong with calculating profit and loss.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an employee (salaryman) and a professional is clear based on whether one’s selection criteria are profit/loss or experience. Experiences can be utilized throughout one’s lifetime and manifest as positive influence, while profit and loss often only remain as simplistic evaluations of good or bad.

What matters is not the choice itself, but the experience.

Leave a Comment